로봇의 명확한 안전 기준이 필요하다
로봇의 명확한 안전 기준이 필요하다
  • 오현식 기자
  • 승인 2017.10.11 1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만명당 로봇 비중, 541대 … 안전 사고, 계속 증가세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제조 로봇 밀도가 가장 높은 국가이다. 근로자 1만명당 로봇 비중이 541대에 달하여 독일(301대)과 미국(176대)을 크게 넘어설 정도이다. 하지만 로봇의 높은 활용도에 비해 안전 수준이 높지 않아 우려를 낳고 있다.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의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조공정의 대형화·라인화·자동화에 따라 자동화 설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상응하여 관련 재해 역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산업용 로봇으로 인한 재해는 제조업 평균 연 41.4건 발생했는데, 이는 근로손실일 기준으로는 제조업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산업용 로봇에 의한 전체 재해자수는 사망자 15명을 포함하여 207명이었으며, 산업용 로봇 재해자의 평균 근로손실일수는 707.5일로 제조업 재해자의 평균 근로손실일수 351.7일보다 2배 높았다. 사고의 대부분(64.7%)은 설비의 수리·점검·준비·설치 작업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산업용 로봇 운전 중의 사고가 많았다.

연구원은 안전방책 미설치 또는 형식적 설치, 근로자 작업 영역의 안전방책 내 위치, 충전부 노출, 비상정지장치의 제어범위 불일치, 기계적 보호의 안전거리 미준수, 안전매트 미설치, 출입문 연동장치 미설치 또는 임의해제, 비상정지 미설치, 부품 입·출구 작업자 진입가능성 등의 구조적 문제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연구원은 산업용 로봇을 산업안전 보건법시행령 제28조의 안전인증 대상으로 지정하는 등 제도적 안전관리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안전보건기술지침 M-61-2017 ‘산업용 로봇의 사용 등에 관한 안전 기술지침 개정 추진’에 나설 방침을 전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확산되고 있는 협동로봇의 명확한 안전규정도 요구된다. 협동로봇에 대한 안전규정은 2011년에 개정된 산업용 로봇의 안전규정인 ISO 10218-1, 2에 최초로 제시된 후 2016년 ISO TS 15066이라는 국제 규격이 탄생했다. 국내에서도 ISO 국제 기준에 맞춰 2월부터 KS표준 등 협동로봇과 관련한 안전 인증이 적용되고 있지만, 명확한 세부 규정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이에 다양한 산업용 로봇과 관련한 산업현장의 실태에 맞는 관련 설비 및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된다.


주요기사
이슈포토